맑고투명한하루

포드, GM 그리도 도요타의 전기자동차 본문

2차전지와 관련된 것들

포드, GM 그리도 도요타의 전기자동차

맑고투명한하루 2025. 3. 18. 21:57

1.포드와 전기자동차

포드(Ford)는 전기자동차(EV)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입니다. 포드는 전통적인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포드의 전기차 전략과 비전

포드는 전기차 전환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막대한 투자: 2026년까지 전기차 및 배터리 기술에 약 500억 달러이상 투자 예정

전기차 생산 확대: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전기차 전용 공장 및 배터리 생산 시설 구축

배터리 기술 개발: 배터리 비용 절감 및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자체 배터리 기술(: LFP 배터리) 개발

충전 인프라 확대: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자체 충전 네트워크 확장

포드의 주요 전기차 모델

포드는 다양한 전기차를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1)포드 머스탱 마하-E(Mustang Mach-E)

전기 SUV

최대 주행거리 약 312마일(502km)

고성능 GT 모델은 0-100km/h 가속 3.5

2)포드 F-150 라이트닝(F-150 Lightning)

전기 픽업트럭

최대 주행거리 약 320마일(515km)

V2L(Vehicle-to-Load) 기능 지원(비상 시 가정 전력 공급 가능)

3)포드 E-트랜짓(E-Transit)

전기 밴

배송 및 상업용 고객 타깃

다양한 크기와 배터리 옵션 제공

포드의 미래 계획

신형 전기 픽업트럭(코드명 T3) 개발 중

전기차 전용 플랫폼도입 예정 (2025년 이후)

유럽 시장에서 2030년까지 100% 전기차 전환 목표

포드는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 GM, 폭스바겐 등과 경쟁하며 빠르게 전기차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 GM과 전기자동차

GM(제너럴 모터스)과 전기자동차(EV)

GM(General Motors)은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로,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 포드, 현대차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GM은 전기차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2035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완전히 중단하고 100% 전기차 회사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GM의 전기차 전략과 비전

GM은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울티엄(Ultium) 플랫폼 개발

GM은 자체 개발한 울티엄 배터리(Ultium Battery) 및 울티엄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기차를 출시

배터리 비용 절감주행거리 향상을 목표로 함

모듈형 구조로 설계되어 다양한 차량(소형차, SUV, 픽업트럭, 상용차 등)에 적용 가능

2) 배터리 기술 및 생산 투자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해 **"얼티엄 셀즈(Ultium Cells)"**라는 배터리 공장을 설립

미국 내 3개의 배터리 공장 건설 중, 추가 확장 가능성 있음

리튬, 니켈 등 배터리 원자재 확보를 위해 글로벌 공급망 구축

3) 전기차 생산 확대

2030년까지 전기차 연간 100만 대 생산 목표

미국, 캐나다, 중국 등에서 전기차 전용 공장 운영

테슬라 슈퍼차저 네트워크 사용 가능하도록 협업

GM의 주요 전기차 모델

GM은 다양한 브랜드(쉐보레, 캐딜락, GMC, 뷰익)를 통해 전기차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1) 쉐보레 볼트 EV/Bolt EUV

가성비 전기차로 인기 있었으나 배터리 리콜 문제 발생

2023년 단종 발표, 하지만 2025년부터 새로운 울티엄 플랫폼으로 부활 예정

2) 쉐보레 실버라도 EV(Silverado EV)

전기 픽업트럭(포드 F-150 라이트닝과 경쟁)

1회 충전 시 최대 450마일(724km) 주행 가능

3) 캐딜락 리릭(Lyriq)

럭셔리 전기 SUV

주행거리 약 312마일(502km)

최신 반자율주행 시스템 슈퍼 크루즈(Super Cruise)지원

4) GMC 허머 EV(Hummer EV)

고성능 오프로더 전기차

0-100km/h 3

"크랩 워크(Crab Walk)" 기능 탑재 (대각선 이동 가능)

5) 쉐보레 블레이저 EV / 이쿼녹스 EV

실용적인 전기 SUV모델

이쿼녹스 EV3만 달러 대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 (가성비 전기차)

GM의 미래 계획

2035년까지 모든 승용차를 전기차로 전환
2025년까지 전 세계에서 30종 이상의 전기차 출시
배터리 가격 절감 및 충전 인프라 확장

3.도요타와 전기자동차

도요타(Toyota)와 전기자동차(EV)

도요타는 하이브리드(HV) 차량의 선구자로 유명하지만, 순수 전기차(EV) 전환 속도는 경쟁사보다 다소 느린 편입니다. 하지만 최근 전기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 및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전기차 전략을 본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도요타의 전기차 전략과 비전

도요타는 전기차 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멀티 파워트레인 전략

순수 전기차(BEV)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수소차(FCEV)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유지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는 것이 목표

하이브리드 기술을 앞세워 탄소 배출 감축에도 기여

2) 전기차 배터리 기술 개발

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 개발을 통해 차세대 전기차 시장 주도 계획

2027~2028년까지 800km 이상 주행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

배터리 원가 절감을 위한 자체 생산 및 공급망 확보 노력

3) 전기차 생산 및 모델 확대

2026년까지 10종 이상의 순수 전기차(BEV) 출시 예정

2030년까지 연간 350만 대 전기차 판매 목표

도요타의 주요 전기차 모델

1) 토요타 bZ4X

도요타의 첫 번째 전용 전기 SUV

e-TNGA 플랫폼 기반

주행거리 약 500km(배터리 용량 71.4kWh)

스바루 솔테라(Subaru Solterra)와 공동 개발

2) 렉서스 RZ 450e

도요타의 프리미엄 브랜드 렉서스(Lexus)의 첫 전기차

주행거리 약 450km

DIRECT4 사륜구동 시스템 탑재

3) 토요타 bZ3

중국 시장을 겨냥한 전기 세단

BYD와 협업하여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적용

도요타의 미래 계획

2030년까지 30종 이상의 전기차 출시 예정
전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 개발 가속화
전기차 전용 플랫폼(BEZ) 도입 예정

도요타는 전기차 전환 속도가 다소 늦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하이브리드 강점을 살리면서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4. 사견

각 기존의 자동차회사의 전기차에 관한 전략을 알아보았다.

지금 시점에서 전부 딜레이되고 있으나 아직 기본 방향은 유지되고 있다고 본다.

전기자동차시대에 있어서 자동차산업의 전략을 알아야 앞으로 2차전지산업의 성장과 전기자동차의 성장을 알아볼 수 있다고 생각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