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투명한하루
유럽 자동차와 전기차유럽 자동차와 전기차 본문
1.르노와 전기자동차
르노(Renau르노자동차와 전기자동차lt)는 전기자동차(EV)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자동차 제조사입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자동차 브랜드로, 2010년대 초부터 전기차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며 다양한 모델을 선보였습니다.
1)르노의 전기차 라인업
- 르노 조에(ZOE)
2012년 출시된 소형 해치백 전기차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 중 하나
50kWh 배터리로 300km 이상의 주행거리(WLTP 기준)
- 르노 트위지(Twizy)
초소형 전기차, 1~2인용
도심 이동용으로 설계됨
국내에서도 배달 및 공유 모빌리티 용도로 활용
- 르노 메간 E-Tech (Mégane E-Tech Electric)
2022년 출시된 준중형 크로스오버 전기차
최신 기술 적용, 구글 기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탑재
60kWh 배터리, 최대 450km 주행 가능
- 르노 캉구 E-Tech (Kangoo E-Tech Electric)
소형 상용 전기차, 배달 및 비즈니스용 차량
45kWh 배터리, 300km 주행 가능
- 르노 마스터 E-Tech (Master E-Tech Electric)
중형 전기 밴, 물류 및 상업용 차량
52kWh 배터리, 약 200km 주행 가능
2)르노의 전기차 전략
-얼라이언스(Alliance) 전략
닛산(Nissan), 미쓰비시(Mitsubishi)와의 협력을 통해 전기차 기술 및 플랫폼 공유
CMF-EV(Common Module Family Electric Vehicle) 플랫폼 활용
-전동화 목표
2030년까지 유럽에서 판매되는 르노 브랜드 차량의 100%를 전기차로 전환
전기차 전용 브랜드 'Ampere' 출범 (2023년 발표)
배터리 및 충전 기술
유럽 내 자체 배터리 공장 구축
배터리 재활용 및 친환경 소재 적용
르노는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전기차를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모델과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2.벤츠와 전기자동차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는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로, EQ 라인업을 통해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벤츠는 2030년까지 전기차 중심 브랜드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고급스러운 디자인, 첨단 기술, 강력한 성능을 갖춘 전기차를 개발 중입니다.
1) 벤츠의 전기차 라인업 (EQ 시리즈)
벤츠의 전기차는 "EQ"라는 브랜드명을 사용하며, 다양한 세그먼트에서 모델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 EQE 시리즈(E클래스급 전기 세단 & SUV)
EQE 세단: 준대형 전기 세단, E클래스의 전기차 버전
EQE SUV: EQE 기반의 전기 SUV, 실내 공간 확장
최대 660km(WLTP 기준) 주행 가능
최고출력 687마력(AMG EQE 53 4MATIC+)
-. EQS 시리즈(S클래스급 전기 세단 & SUV)
EQS 세단: 최고급 전기 세단, 럭셔리한 내부와 첨단 기술
EQS SUV: EQS 기반 대형 전기 SUV
최대 770km(WLTP 기준) 주행 가능 (450+ 모델)
하이퍼스크린 탑재(첨단 터치스크린 인포테인먼트)
-. EQA & EQB(컴팩트 전기 SUV)
EQA: GLA 기반 소형 전기 SUV, 실용성 강조
EQB: GLB 기반 준중형 전기 SUV, 7인승 옵션 제공
- EQC(벤츠의 첫 양산형 전기 SUV)
GLC 기반 중형 전기 SUV
80kWh 배터리, 최대 450km 주행 가능
- EQV(전기 미니밴)
V클래스 기반 전기 미니밴
90kWh 배터리, 최대 400km 주행 가능
2) 벤츠의 전기차 전략
-전동화 목표
2030년까지 "전기차 전용 브랜드"로 전환 (일부 시장 예외)
2025년 이후 출시되는 모든 신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
- 전기차 플랫폼 개발
EVA (Electric Vehicle Architecture): EQS, EQE 등 고급 전기차에 사용
MMA (Mercedes-Benz Modular Architecture): 2025년부터 소형~중형 전기차에 적용
AMG.EA: 고성능 AMG 전기차 전용 플랫폼
배터리 기술 & 충전 인프라
자체 배터리 기술 개발 및 유럽·중국·미국 배터리 공장 확대
초고속 충전 네트워크 구축 (2024년까지 북미·유럽·중국 중심으로 확장)
벤츠는 단순히 전기차를 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용 플랫폼, 배터리 기술, 충전 인프라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전동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급스러움과 첨단 기술을 앞세워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보입니다.
3.BMW와 전기자동차
BMW는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브랜드로, "i" 시리즈와 함께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BMW는 2013년 i3를 시작으로 전기차 시장에 진출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세그먼트에서 전기차를 출시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1) BMW의 전기차 라인업
- i3 (단종)
2013년 출시된 BMW의 첫 순수 전기차
탄소섬유 차체로 가벼운 무게와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
2022년 단종되었지만 BMW 전기차 역사에서 중요한 모델
- i4 (4시리즈 그란 쿠페 기반 전기차)
스포츠 세단 스타일의 전기차
최대 590km(WLTP 기준) 주행 가능 (i4 eDrive40)
고성능 모델 i4 M50은 544마력, 0-100km/h 3.9초
- iX (대형 전기 SUV)
BMW의 최신 기술이 집약된 전기 플래그십 SUV
iX xDrive50: 523마력, 630km 주행 가능
고성능 모델 iX M60: 619마력, 0-100km/h 3.8초
- iX1 (X1 기반 소형 전기 SUV)
컴팩트 전기 SUV로 실용성과 효율성 강조
64.7kWh 배터리, 최대 440km 주행 가능
- iX3 (X3 기반 중형 전기 SUV)
X3의 전기차 버전으로, 가솔린 모델과 유사한 디자인
후륜구동, 74kWh 배터리, 최대 470km 주행 가능
- i7 (7시리즈 기반 전기 플래그십 세단)
럭셔리 전기 세단, 7시리즈의 전기차 버전
i7 xDrive60: 544마력, 625km 주행 가능
i7 M70: 660마력, 0-100km/h 3.7초
- i5 (5시리즈 기반 전기 세단, 2023년 출시)
비즈니스 세단 스타일 전기차
i5 eDrive40: 601km 주행 가능
i5 M60: 601마력, 0-100km/h 3.8초
2)BMW의 전기차 전략
-전동화 목표
2030년까지 전체 판매량의 50% 이상을 전기차로 전환
2025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 "Neue Klasse"도입
-전기차 플랫폼
CLAR 플랫폼: 기존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함께 개발 (i4, iX3 등)
Neue Klasse (2025년 도입 예정): 순수 전기차 전용 플랫폼
-배터리 및 충전 기술
6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 20% 증가
2024년까지 글로벌 충전 인프라 35만 개 이상 확충 계획
BMW는 내연기관 모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전기차 기술을 적용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2025년 이후에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Neue Klasse를 통해 더욱 진보한 전기차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BMW 특유의 스포티한 주행 감각과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면서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4.폭스바겐과 전기자동차
4. 폭스바겐(Volkswagen)과 전기자동차
폭스바겐은 전 세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전기차 전환을 추진하는 자동차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디젤게이트(2015년 배출가스 조작 사건) 이후 친환경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2033년부터 유럽 시장에서 내연기관 차량 판매를 중단할 계획입니다.
폭스바겐의 전기차 브랜드는 "ID."시리즈이며, 전기차 전용 플랫폼 **MEB(Modular Electric Drive Matrix)**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1)폭스바겐의 전기차 라인업 (ID. 시리즈)
- ID.3 (전기 해치백, 골프급 모델)
폭스바겐 골프의 전기차 버전
58~77kWh 배터리, 최대 550km 주행 가능(WLTP 기준)
폭스바겐의 전기차 대중화 모델
- ID.4 (전기 SUV, 티구안급 모델)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전기 SUV
52~77kWh 배터리, 최대 500km 주행 가능
4륜구동 GTX 모델 제공
- ID.5 (ID.4의 쿠페형 SUV 버전)
ID.4와 동일한 플랫폼, 더 날렵한 디자인
공기역학 개선으로 더 높은 효율성 제공
- ID. Buzz (전기 미니밴, 폭스바겐 T1 복고풍 디자인)
클래식 마이크로버스(T1)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82kWh 배터리, 최대 420km 주행 가능
2024년 롱휠베이스(LWB) 모델 출시 예정
- ID.7 (전기 세단, 패사트급 모델)
폭스바겐의 플래그십 전기 세단
86kWh 배터리, 최대 700km 주행 가능
최신 AR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첨단 기술 탑재
- ID.6 (중국 전용 대형 SUV)
중국 시장을 겨냥한 7인승 전기 SUV
ID.4보다 크고 패밀리카로 적합
2)폭스바겐의 전기차 전략
- 전동화 목표
2030년까지 유럽 판매량의 80% 이상을 전기차로 전환
2033년부터 유럽에서 내연기관 차량 판매 중단
2025년까지 전기차 전용 공장 6곳 가동 예정
- 전기차 플랫폼
MEB(Modular Electric Drive Matrix): ID. 시리즈 전용 플랫폼
SSP(Scalable Systems Platform, 2026년 출시 예정): 고성능·자율주행 전기차용 플랫폼
-배터리 기술 & 충전 인프라
2025년까지 배터리 원가 50% 절감 목표
유럽에 40,000개 이상의 초급속 충전소구축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프로젝트 진행 중
3) 폭스바겐 전기차의 특징
- 전기차 대중화를 목표: ID.3, ID.4 등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의 모델 출시
- 클래식 디자인 계승: ID. Buzz처럼 레트로 감성을 살린 모델도 선보임
- MEB 플랫폼 확장: 폭스바겐 그룹의 다른 브랜드(아우디, 포르쉐, 스코다, 세아트 등)도 공유
폭스바겐은 대중 브랜드답게 합리적인 가격대의 전기차를 제공하면서도, 첨단 기술과 높은 주행거리를 갖춘 모델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5. 사견
유럽 자동차와 미국 자동차 회사는 전기자동차시대에서도 지금과 똑같이 시장을 분할할까요.
아니면 미국이 테슬라를 앞세워 시장을 장악할까요.
10년후 자동차회사의 지배구도는 어떻게 될까요.
이 답을 알면 우린 부자가 되겠죠
하지만 이 격변의 시대에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투자는 성공의 지름길이겠죠
우리 모두 건승하기를
'2차전지와 관련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자동차 회사 와 전기자동차 (0) | 2025.03.21 |
---|---|
기타 자동차회사-1 (0) | 2025.03.21 |
퇴직 후 - 크림 리셀 시장 2 (1) | 2025.03.19 |
포드, GM 그리도 도요타의 전기자동차 (0) | 2025.03.18 |
현대/기아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