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투명한하루

세계 전기 자동차시장의 현황 본문

2차전지와 관련된 것들

세계 전기 자동차시장의 현황

맑고투명한하루 2025. 3. 12. 00:07

1.미국의 전기자동차

1) 시장 현황

미국의 전기자동차(EV)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누적 판매량이 470만 대를 돌파하였으며, 연간 판매량은 1402,371대로 전체 자동차 판매의 9.1%를 차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 미국인들의 EV 보급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EV 소유자의 42.6%가 연 소득 20만 달러 이상의 가구인 반면, 연 소득 4~99,999달러 사이의 가구 중 EV를 소유한 비율은 5%에 불과합니다. 이는 EV의 평균 가격이 55,544달러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여전히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된 EV 지원 정책을 철회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였습니다. 이는 EV 구매 시 제공되던 7,500달러의 세액 공제를 폐지하고, EV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금 지원을 중단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미국의 EV 보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중·저소득층 소비자들의 EV 접근성을 더욱 제한할 수 있습니다. 향후 EV 시장의 성장은 이러한 정책 변화와 인프라 구축 상황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2) 브랜드

미국 전기자동차(EV) 시장은 다양한 브랜드들이 경쟁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과 최근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테슬라(Tesla):테슬라는 20244분기 미국 EV 시장에서 44.4%의 점유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로이터글로벌 시장에서도 모델 Y와 모델 3가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하며, 1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제너럴 모터스(GM):GM20244분기 미국 EV 시장 점유율을 12%로 끌어올리며, 테슬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캐딜락 리릭(Cadillac Lyriq), 쉐보레 이쿼녹스(Chevrolet Equinox) 및 블레이저 EV(Blazer EV) 등 다양한 모델의 판매 증가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로이터또한, GM2024년 말까지 EV 부문에서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포드(Ford):포드는 20244분기까지 미국 EV 시장에서 6.8%의 점유율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GM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으며, EV 부문에서 상당한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타 브랜드:현대, 기아, 폭스바겐, 볼보 등 다른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도 미국 EV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여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브랜드 간의 경쟁은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미국 EV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2. 유럽에서의 전기자동차

1) 시장현황

유럽의 전기자동차(EV)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성장하며, 다양한 정책과 제조사의 투자로 더욱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시장 현황 및 성장 추세:유럽의 플러그인 전기자동차(PEV) 시장은 2020년에 1,364,813대의 판매를 기록하며, 전체 자동차 판매의 11.4%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43.8% 증가한 수치로, 유럽이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PEV 시장으로 부상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주요 제조사의 투자 및 전략:

포드(Ford):독일 전기차 부문에 44억 유로를 투자하여 유럽에서의 전기차 사업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는 2030년까지 유럽에서 전기차만 판매하겠다는 포드의 계획의 일환입니다.

ACC:스텔란티스(Stellantis), 메르세데스(Mercedes), 토탈에너지(TotalEnergies)가 공동 소유한 프랑스 배터리 제조사로, 유럽연합의 자동차 산업 지원 계획을 환영하면서도, 이러한 지원이 시기적으로 늦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정책적 변화 및 지원: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기업 차량의 전기차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화석연료 기반 법인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종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이는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과 중국 경쟁사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2035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국가별 동향:

영국:20252월 신규 자동차 등록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84,054대를 기록했지만, 전기차 등록은 41.7% 증가하여 21,244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기차가 신규 자동차 판매의 약 25%를 차지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동향은 유럽이 전기차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책적 지원과 제조사의 적극적인 투자가 결합되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을 보여줍니다.

2) 브랜드

유럽 전기자동차(EV) 시장은 다양한 제조사들의 경쟁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과 최근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폭스바겐 그룹(Volkswagen Group):폭스바겐 그룹은 2024년 상반기 유럽 EV 시장에서 178천 대의 판매량으로 선두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수치로, 시장 점유율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BMW:BMW2024년 전기차 판매량이 35% 증가하며 유럽 시장에서 테슬라를 제치고 선두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BMW의 성공 요인으로는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와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의 다양성이 꼽힙니다. 유럽에서 BMW 판매의 26%가 전기차이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포함하면 50%에 달합니다.

테슬라(Tesla):테슬라는 최근 유럽 시장에서 판매량 감소를 겪고 있습니다. 20241월에는 판매량이 45% 감소하며, 폭스바겐과 토요타에 밀려 시장 점유율이 하락했습니다.

현대·기아(Hyundai·Kia):현대차·기아는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하며, 글로벌 완성차 그룹 가운데 네 번째로 많은 전기차를 판매했습니다. 2023년 독일 등 유럽 10개국에서 총 96,988대를 판매해 점유율 10%를 기록했습니다.

기타 브랜드:202210월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폭스바겐 ID.4

폭스바겐 ID.3

피아트 500e

푸조 208 EV

포드 쿠가 PHEV

이러한 데이터는 유럽 EV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제조사 간의 경쟁이 치열함을 보여줍니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와 대중 브랜드 간의 전략 차이가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3. 중국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자동차(EV) 시장으로, 최근 몇 년간 급속한 성장을 보였습니다. 2024년에는 약 1,287만 대의 승용 전기차가 판매되었으며, 이 중 60%는 배터리 전기차(BEV), 40%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였습니다.

시장 동향:

BEVPHEV 판매 증가:20252월 중국에서 BEV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했고, PHEV 판매는 54% 증가했습니다. 이는 BEVPHEV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전체 자동차 판매 증가:20251~2월 중국의 자동차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특히 2월에는 승용차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26.1% 증가하여, 1월의 12% 감소를 상쇄했습니다.

주요 제조사 동향:

BYD:BYD20251~2월 동안 614,679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90.4%의 판매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BEVPHEV 모두에서 강력한 성장을 보인 결과입니다.

테슬라:테슬라의 중국산 전기차 판매는 2025230,688대로, 전년 동기 대비 49.2% 감소했습니다. 이는 20228월 이후 최저치이며, 중국 내 경쟁 심화와 가격 경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리 오토(Li Auto):주로 확장형 전기차(EREV)를 제조하는 리 오토는 BEV 시장으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BEV 전용 모델인 메가 미니밴의 성과는 저조한 편입니다.

정책 및 산업 동향:

정부 보조금 및 가격 경쟁:중국 정부는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2025년에 1,500만 대의 차량에 혜택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보조금과 함께 스마트 EV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배터리 산업:전기차 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된 배터리 산업에서도 중국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CATL, BYD, CALB, Gotion, SVOLT, EVE 에너지 등 주요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중국이 전기차 및 관련 산업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글로벌 EV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일본

일본의 전기자동차(EV)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편입니다.

시장 현황:

전기차 점유율:20243분기 일본 시장에서 전기차(경차 포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한 15,926대로 집계되었으며, 전체 신차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6%에 불과했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 우세:같은 기간 하이브리드 전기차(HEV)1542,784대 판매되어 시장 점유율 61.1%를 차지하며, 일본 자동차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조사 동향: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는 2024년 일본 전기차 시장에서 총 607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24.1% 증가한 실적을 보였습니다. 이는 일본 전기차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33% 감소한 상황에서도 이루어진 성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혼다와 닛산:혼다와 닛산은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합병을 논의 중입니다. 이들은 새로운 모회사 설립을 통해 운영을 계획하고 있으며, 미쓰비시의 참여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시장 전망:

일본 전기자동차 시장 규모는 2025469,700만 달러에서 2029년까지 945,1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19.1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현황을 종합하면, 일본은 현재 하이브리드 차량이 주도하는 시장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전기차 보급률은 아직 낮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주요 제조사들의 전략 변화와 시장 전망을 고려할 때, 향후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5. 확실한 것과 궁금증

1. 확실한 것은 느리게 갈 것인가 빠르게 갈 것이냐의 문제이지 전기자동차 시대로 간다는 것.

2. 궁금한 것은 전기자동차 시대에서 자동차 시장은 어떻게 재편될 것인가이다.

- 혹자는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아니라 모터로 가고 소프트웨어로 작동되다 보니 전기자동차는 전자장비라고 말하고 그러므로 누구나 쉽게 이 시장을 들어올 수 있다고 한다. 앞서 가는 브랜드이든 뒤에 있는 브랜드이든 

만약 그렇다면 테슬라는 결국 모든 자동차회사와 동등한 조건이 될 것이므로 테슬라의 미래는 낙관할 수 없고

전기자동차도 전자장치가 많이 반영되기는 해도 자동차이므로 테슬라가 20년 가까이 다져놓은 기술을 추격할 수 없으므로

선도자의 자리로 계속 남을 것이라고 말한다.

2. 전자장비의 시대로 자동차가 남게 되면 우리나라는 전자장비에 기술이 뛰어나므로 현대와 기아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앞으로 현대와 기아에게 장미빛 전망을 해도 되는가

3. 일본은 전기자동차에서 가장 늦게 개발에 합류하고 시작되어 그 반전을 전고체배터리에서 답을 구하고 있다.

그럼 전고체배터리시대가 늦게 오면 결국 일본 자동차회사는 앞으로의 미래는 어두운가

4. 누군가는 이렇게 전망한다. 중소형 전기자동차는 저가배터리인 LFP배터리를 착용 할 것이고, 중가형과 고가형은 배터리는 삼원계배터리로 가다가 전고체배터리가 상용화가 되면 고가형은 전고체배터리로 갈 거라고 한다.

그럼 중국자동차는 저가형을 잡고 일반적으로 나머지 회사가 중가형에서 서로 경쟁하고 이미 브랜드화가 되어있는 테슬라는 독자영역을 구축하는가.

5. 현재 전고체배터리에서 가장 앞서가고 있다고 말하는 도요타는 전고체배터리가 상용화가 되면 이제 가장 고가의 브랜드가 되는가..

이러한 많은 질문들을 가지고 있는 시장이기에 아직 위험과 기회가 상존하고 있겠지

그렇다면 이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내가 내린 최고의 투자는 ?

728x90

'2차전지와 관련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전지와 설비 장비  (0) 2025.03.13
자동차와 화재  (0) 2025.03.12
한국과 중국 배터리 산업  (0) 2025.03.11
코스모 신소재에 대하여  (0) 2025.03.10
포스코 퓨처엠에 대하여  (0)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