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투명한하루
2차전지와 음극 본문
1. 음극재
2차전지는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 충·방전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LIB), 납축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리튬이온배터리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1. 2차전지의 구조 및 원리
2차전지는 크게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됩니다.
양극: 리튬을 저장하는 역할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인산철 등)
음극: 리튬이 저장되고 방출되는 역할 (흑연, 실리콘, 탄소나노튜브 등)
전해질: 리튬이온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액체 또는 고체
분리막: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해 단락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
충전할 때 음극으로 리튬이온이 이동하고, 방전할 때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가 발생합니다.
2. 음극재란?
음극재(Anode Material)는 배터리의 음극을 구성하는 핵심 소재로, 리튬이온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음극재의 종류
흑연(Graphite)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안정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용량이 한정적임 (372mAh/g)
실리콘(Silicon, Si) 음극재
흑연보다 10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보유 (4,200mAh/g)
충·방전 시 부피 팽창 문제가 있어 상용화 연구 진행 중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전도성이 높고 충·방전 효율이 뛰어남
주로 흑연이나 실리콘과 혼합해 사용
리튬 금속(Lithium Metal) 음극재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지만, 안정성 문제가 있어 실용화 연구 진행 중
3. 음극재 시장 및 전망
현재 흑연 기반 음극재가 대부분이지만, 실리콘 기반 음극재가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테슬라,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에서 실리콘 음극재 기술 개발진행 중.
음극재 공급망에서 중국 비중이 높아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 공급망 다변화 추진.
2차전지 산업에서 음극재는 배터리 성능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핵심 분야입니다.
2. 중국과 음극재
음극재와 중국: 시장 점유율과 영향력
1) 중국의 음극재 시장 점유율
중국은 음극재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음극재 생산량의 **70~80%**를 차지
주요 음극재 기업: 베터리(BTR), 샨샨(Shanshan), 신지앙(Xingcheng Graphite), 천훙(Chengdu Carbon)등
2) 중국의 경쟁력 요인
천연 흑연 매장량: 음극재 원료인 천연 흑연의 매장량이 많음
강력한 공급망: 원료 채굴부터 가공, 배터리 제조까지 수직계열화구축
저렴한 생산 비용: 인건비, 전기료 등에서 경쟁력이 높음
정부 지원: 중국 정부가 2차전지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
3) 중국의 영향력과 리스크
중국산 의존도 증가→ 한국, 일본, 유럽 등 주요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산 음극재 의존
미·중 무역 갈등→ 미국이 중국산 배터리 소재에 관세 및 수입 제한검토
자국 중심 정책→ 중국이 배터리 핵심 원자재 수출 제한 가능성 있음
4) 결론:
중국이 음극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공급망 리스크 및 기술 변화로 인해 글로벌 기업들이 탈(脫)중국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한국과 음극재
한국과 음극재: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의 역할과 전략
한국은 배터리 산업의 핵심 국가 중 하나이며, 음극재분야에서도 기술 개발과 공급망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같은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이 한국에 본사를 두고 있어 음극재 내재화가 필수적입니다.
1) 한국의 음극재 산업 현황
세계 2위권 음극재 생산국(1위 중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성장과 함께 음극재 수요 증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공급망 구축 중
전통적인 흑연 음극재에서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재로 전환 가속화
2) 한국의 주요 음극재 기업
- 포스코퓨처엠
천연흑연·인조흑연 음극재 생산
실리콘 음극재 연구 개발 중
포스코그룹의 광물·소재 역량 활용
- SKC (인수한 애널로그반도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 및 양산 추진
배터리 소재 산업 확장
- LG화학
차세대 음극재 개발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확대
- 에코프로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재 연구
배터리 소재 사업 다각화
이들 기업은 기존 흑연 기반 음극재뿐만 아니라 실리콘 기반, 탄소 복합 음극재 등 차세대 소재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3) 한국의 음극재 기술 전략
흑연 음극재 국산화– 기존 중국산 흑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국내 생산 확대
실리콘 음극재 개발– 흑연보다 에너지 밀도가 4~10배 높은 실리콘 기반 기술 강화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 복합 음극재 연구– 전도성 개선 및 충전 속도 향상
해외 원료 공급망 확보– 호주, 캐나다, 미국 등에서 흑연 및 실리콘 원재료 확보
4) 중국 의존도 줄이기 위한 대응 전략
정부 지원 확대
배터리 소재 국산화 지원 정책 추진
IRA(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을 위한 해외 투자 확대
해외 공급망 확보
중국이 세계 음극재 시장의 70~80%를 차지 → 한국은 공급망 다변화 추진
호주, 캐나다, 미국 등에서 흑연·실리콘 원재료 조달
차세대 기술 개발
실리콘 음극재 및 고체전해질 기술 선점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에 적합한 음극재 연구
5) 한국 음극재 산업의 전망
배터리 내재화 강화 →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
중국과 차별화된 고성능·고부가가치 음극재 개발 필수
미국·유럽 시장 대응을 위한 비(非) 중국 공급망 구축 가속화
🔹 한국은 음극재 산업에서 기술 혁신과 글로벌 공급망 전략을 통해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배터리 산업의 핵심 국가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2차전지와 관련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하면서 느꼈던 점 (1) | 2025.03.31 |
---|---|
분리막 (1) | 2025.03.30 |
2차 장비업체 (1) | 2025.03.27 |
음극재 (0) | 2025.03.26 |
2차전지와 전구체 (0) | 2025.03.25 |